본문 바로가기
실내건축

실내디자인의 요소

by 스마일1 2022. 7. 14.

1. 실내 공간의 요소


-일차적 요소 : 천장, 벽, 바닥, 기둥, 개구부, 통로, 실내 환경 시스템

-이차적 요소 : 가구, 조명, 액세서리

-3차적 요소 : 색채, 질감, 직물, 문양, 형태, 전시



2. 바닥

-천장보다도 더 중요한 실내디자인 요소로 어떤 공간에서도 존재하며 공간을 사용하는 사람은 이 바닥과 직접 접촉하며 끊임없이 사용한다.

-기능

외부로부터 차가움과 습기를 차단한다.

사람의 보행과 가구를 놓을 수 있도록 수평면을 제공한다.

벽이 없이도 공간을 분리할 수 있으며, 동선을 유도한다.

공간의 기초가 되므로 바닥의 디자인은 물리적, 시각적으로 전체 디자인에 영향을 준다.



3. 벽

벽의 기능

-벽은 공간의 형태와 크기를 결정하고 프라이버시의 확보, 외부로부터의 방어, 공간 사이의 구분, 동선이나 공기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색, 패턴, 질감, 조명 등에 의해 분위기가 조절된다.



벽 높이에 따른 심리적 효과

-상징적 경계 -60cm 높이의 벽 : 두 공간을 상징적으로 분리, 구분한다.

모서리를 규정할 뿐 공간을 감싸지는 못한다.

-허리 정도의 높이의 벽 : 주위의 공간과 시각적 연결은 약화하고 에워싼 느낌을 주기 시작한다.

-시각적 개방 : 시각적 연속성을 주면서 감싸인 분위기를 준다.

-눈높이의 벽 : 한 공간이 다른 공간과 분할되기 시작한다.

-시각적 차단 : 공간의 영역이 완전히 차단된다. 프라이버시가 좋으며 한 공간의 성격을 규정한다.



4. 커튼에 관한 용어

-글라스 커튼 : 유리 바로 앞에 하는 투명하고 막과 같은 얇은 직물로 된 커튼으로 실내에 들어오는 빛을 부드럽게 하며 약간의 프라이버시를 제공한다.

-드레퍼리 커튼 : 창문에 느슨히 걸린 우거진 커튼으로 모든 커튼의 통칭

-드로 커튼 : 가로 창대에 설치하는 커튼으로 글라스 커튼보다 무거운 재질의 직물로 처리한다.

-새시 커튼 : 글라스 커튼을 줄인 형태로 창문 반 정도만 친 형태이다.

-레이스 커튼 : 보통 이중 커튼으로 많이 사용된다.

-코니스 : 커튼이 걸리는 장대와 커튼 틀을 감추기 위한 고정 띠.

-밸런스 : 코니스와 같은 기능을 하지만 보다 주름을 많이 넣은 것.



5. 블라인드의 종류

-수직형 블라인드 : 버티컬 블라인드로 날개가 세로로 하여 180도 회전하는 홀더 체인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좌우 개폐가 가능하다.

-베니션 블라인드 : 수평 블라인드로 안정감을 줄 수 있으나 날개 사이에 먼지가 쌓이기 쉽다.

-롤 블라인드 : 단순하고 깔끔한 느낌을 준다.

-로만 블라인드 : 천의 내부에 설치된 풀 코드나 체인에 의해 당겨져 아래가 접히면서 올라간다.



6. 가구의 배치 방법

-집중적 배치 : 행동이나 목적이 분명한 곳에 적당하다.

침실, 식당이 적당하나 정돈된 분위기로 인해 딱딱한 느낌을 준다.

-분산적 배치 : 자유로운 공간에 적당하다.

거실과 같은 곳이 적당하며 편안한 느낌을 주나 자칫하면 혼란스러운 느낌을 준다.



7. 인체공학적 입장에 따른 가구의 분류

-인체 지지용 가구 : 의자, 소파, 침대, 스툴

-작업용 가구 : 테이블, 책상, 작업용 의자

-수납용 가구 : 벽장, 선반, 서랍장, 붙박이장



8. 가구의 이동에 따른 분류

-이동 가구 :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는 단일가구로 현대 가구의 주종을 이룬다.

-붙박이 가구 : 건물에 짜 맞추어 건물과 일체화하여 만든 가구로 가구 배치의 혼란을 없애고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모듈로 : 이동식이면서 시스템화되어 공간의 낭비 없이 더 크게 더 작게도 조립할 수 있다. 붙박이 가구 + 가동 가구로서 가동성, 적응성의 편리한 점이 있다.



9. 가구 용어해설

가구는 인테리어의 공간을 구성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의 하나이다. 인간의 생활을 기능적으로 성립시킬 뿐 아니라 의장 면에서도 그 역할이 크므로 가구의 형태나 소재뿐 아니라, 크기나 배치에 의해 방의 분위기는 크게 달라진다.

-라운지체어 : 안락의자, 응접 의자로서 한쪽 팔걸이를 다른 쪽보다 높게 디자인하여 머리 받침대로 쓰며, 종류에 따라 등받이가 없는 것도 있으며 기대기, 흔들거리기, 회전의 여러 가지 행위에 사용될 수 있다.

-이지 의자 : 라운지체어와 비슷하나 크기가 작으며 기계장치가 없다.

-윙 의자 : 17세기 말엽에 도입된 이래 계속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였으며, 특수한 형태의 안락의자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높은 등받이와 여기 붙은 날개에 의해 머리와 어깨 부분이 받쳐지고 보호된다.

-풀업 의자 : 필요에 따라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는 간이 의자로서 일반적으로 벤치라 하며 그리 크지도 않으며 가벼운 느낌을 주는 형태를 갖는다. 이 의자는 잡기 편해야 하고 들어 올리기에 편해야 하며, 이리저리 옮기므로 튼튼해야 한다.

-다이닝 의자 : 식탁 의자

-오토만 : 등반이나 팔걸이가 없이 천으로 씌운 낮은 의자로 발을 올려놓는데 사용되는 의자로서 18세기 터키 오토만 왕조에서 유래하였다.

-카우치 : 몸을 기댈 수 있도록 좌판 한쪽 끝이 올라간 침대, 소파겸용의 침대 소파이다.

-플러오 쿠션 : 바닥 위에 놓아 쓰는 푹신푹신한 방석



10. 조명의 4요소

-명도

-대비

-크기

-움직임



11. 조명에 대한 기초 사항

-광속 : 어떤 면을 통과하는 빛의 양

-광도 : 단위 입체각 속을 지나는 빛의 세기, 광의 강도

-조도 : 단위면적 위에 입사하는 빛의 양, 장소의 명도

-휘도 : 작업 면의 밝기, 광원 표면의 밝기, 반짝임

-광속발산도 : 어떤 물체의 표면으로부터 방사되는 광속밀도, 물체의 명도



12. 조명 설계순서

-소요 조도의 결정, 전등의 종류 결정, 조명방식과 조명기구 선정, 광속 계산, 조명기구 배치



13. 기구에 의한 조명

-매입형 : 천장이 2중으로 되어 그사이 공간에 조명 기구를 매입시키는 것으로 다운 라이트 라고도 한다.

-직부형 : 조명 기구를 천장면에 직접 부착시키는 조명방식으로 천장 등으로 불리며, 가장 많이 사용되는 조명기구이다.

-브라켓 벽 부착형 : 조명기구를 벽에 설치하는 것으로 벽 부착형이라고도 한다.

-펜던트 : 파이프나 와이어에 달아 천장에 매단 조명 방식이다.

-이동 조명 기구 : 조명 기구를 필요에 따라 자유로이 이동시키는 것

'실내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색의 분류, 성질, 혼합  (0) 2022.07.21
색채학  (0) 2022.07.18
실내계획  (0) 2022.07.15
디자인의 원리  (0) 2022.07.12
실내디지안이란?  (0) 2022.07.1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