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내건축

색의 분류, 성질, 혼합

by 스마일1 2022. 7. 21.

색의 분류

-유채색

유채색이란 채도가 있는 색을 말한다.

무채색을 제외한 모든 색으로 스펙트럼의 단색에 의한 색상을 이룬 모든 색을 말한다.

색을 3 속성을 모두 가지고 있다.

-무채색

흰색, 회색, 검정 등 색상이나 채도가 없고 명도만 있는 색을 무채색이라 한다.

순수한 무채색은 검정, 백색을 포함하여 그사이 색을 말한다.

명도단계는 11단계로 되어 있다.

반사율이 약 85%인 경우가 흰색이고, 약 30% 정도이면 회색, 약 3% 정도는 검은색이다.

온도감은 따뜻하지도 차지도 않은 중성이다.



색의 3요소

색은 색상, 명도, 채도의 3가지 속성을 가지고 있다.

-색상

색상은 색의 차이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실무에서는 여러 색상을 원형으로 배치한 색상환을 자주 참고하는데, 검은색과 흰색을 제외한 순색 12컬러로 표시하거나 24컬러로 표시한다.

-명도

명도란 색상의 밝은 정도를 말한다.

명도는 흰색에 가까울수록 높고 검은색에 가까울수록 낮다고 말하며, 명도가 높다는 것은 그만큼 색이 밝다는 것 의미한다.

명도가 가장 높은 색은 흰색, 가장 낮은 색은 검은색이다. 검은색과 흰색을 제외한 순색 12컬러 중에서 명도가 가장 높은 색은 노란색이며, 보라색과 빨간색은 명도가 가장 낮다.

-채도

채도는 순도 또는 포화도라고도 하며 색의 선명도, 즉 색채의 강하고 약한 정도를 말한다.

색은 순색에 가까울수록 채도가 높으며, 다른 색상을 가하면 채도가 낮아진다. 이렇게 색의 순수한 정도, 색채의 포화상태, 색채의 강약을 나타내는 성질을 채도라고 말한다.

무채색으로부터 어느 정도의 거리가 있는가를 나타내는 척도의 단위로서 색채의 산뜻한 정도를 나타낸다.

무채색을 0으로 그 색상에서 가장 순수한 색이 최대의 채도 값이다.

수채물감으로 표현할 수 있는 가장 포화한 순색은 채도 10 또는 그것에 가까운 수치로 표시된다.

어떠한 색상의 순색에 무채색의 포함량이 많을수록 채도가 낮아지고, 포함량이 적을수록 채도가 높아진다.

채도가 가장 높은 색은 순색이며, 무채색을 섞으면 채도가 낮아진다.

보색관계의 색을 섞으면 회색이 되어 채도가 낮아진다.

유채색의 순색끼리 섞으면 채도 변화가 적다.

검정, 회색, 하양은 무채색이므로 채도가 없다.



광삼 현상

백색이나 강한 채도의 물체가 어두운 배경에 놓일 때 실제보다 크게 보이는 착각을 말한다.

흰 물체는 빛을 반사하는 것 같이 보이며 그 둘레가 퍼져나가는 것같이 점점 흐리게 보인다.

검은 종이 위에 놓인 흰 사각형은 흰 종이 위에 놓인 같은 크기의 검은 사각형보다 더 커 보인다.



색광의 3원색

색광의 3원색은 빨강, 녹색, 파랑이다.

색광의 3원색을 혼합하는 것은 가법혼색, 가색혼합, 색광혼합이라고 한다.

색광의 3원색인 빨강, 녹색, 청색을 서로 비슷한 밝기로 혼합하면 흰색으로 된다.

보색인 색광을 혼합하여 백색광이 되었을 떄 두 색광은 서로 상대에 대한 보색이라 하는데 빨강과 청록, 파랑과 노랑, 녹색과 자주를 혼합하면 백색광이 된다.



색료의 3원색

색료의 3원색은 청색, 자주, 노랑이다.

청색, 자주, 노랑을 여러 강도로 섞으면 어떤 색이라도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이 3색을 감산혼합의 3원색이라고 한다.

혼합해서 만든 색을 3차 색이라고 부른다.



색의 혼합

가산혼합 : 혼합할수록 더 밝아지는 빛의 혼합을 말한다. 2차 색은 1차 색보다 명도가 높아진다.

감산혼합 : 혼합할수록 더 어두워지는 물감의 혼합을 한다. 2차 색은 1차 색보다 명도가 높아진다.

중간 혼합 : 혼합하면 중간명도에 가까워지는 병치혼합과 회전혼합을 말한다.



가산혼합 또는 가법혼색

빛의 혼합을 말하며, 색과 혼합의 3원색은 빨강, 녹색, 파랑이다.

적색광과 녹색광을 흰 스크린에 투영하여 혼합하면 빨강이나 녹색보다 밝은 노랑이 된다. 이처럼 빛을 더해서 혼합하는 방법을 가산혼합 또는 가법혼색이라고 한다.

2차 색은 원색보다 명도가 높아진다. 보색끼리의 혼합은 무채색이 된다.

빨강, 녹색, 파랑의 색광을 여러 가지 세기로 혼합하면 거의 모든 색을 만들 수 있으므로 이 3색을 가산혼합의 삼원색이라고 한다.



색료혼합

색료의 혼합으로 색료 혼합의 3원색은 청색, 자주, 노랑이다.

색료를 혼합하여 색 필터를 겹치거나 그림물감을 혼합하는 방법을 감산혼합 또는 감법혼색, 색으로 혼합 이라고 한다.

2차 색은 원색보다 명도와 채도가 낮아진다.

색료 혼합의 3원색은 청색, 자주, 노랑을 모두 혼합하면 흑색이 된다.

자주, 노랑, 청색을 여러 강도로 섞으면 어떤 색이라도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이 3색을 감산혼합의 3원색이라고 한다.



병치 가법혼색

색광에 의한 병치혼합으로 작은 색 점을 섬세하게 병치시키는 방법으로 빨강, 초록, 청자 3색의 작은 점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혼색이 되어 현상을 말한다.



'실내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색의 지각적 효과  (0) 2022.08.05
색의 표시 방법  (0) 2022.07.27
색채학  (0) 2022.07.18
실내계획  (0) 2022.07.15
실내디자인의 요소  (0) 2022.07.1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