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의 표시
혼색계
색을 표시하는 표색계로서 심리적, 물리적인 병치의 혼색 실험에 기초를 두는 것으로서 현재 측색학의 기본이 되고 있다.
오늘날 사용하고 있는 표준 표색계가 가장 대표적인 것이다.
현색계
색채를 표시하는 표색계로서 특정의 착색 물체, 즉 색 표로서 물체 표준을 정하여 여기에 적당한 번호나 기호를 붙여서 시료 물체의 색채와 비교에 의하여 물체의 색채를 표시하는 체계이다.
현색계의 가장 대표적인 표색계는 먼셀 표색계와 오스트발트 표색계이다.
-색명
계통색명 : 일반색명이라고 하며 색상, 명도, 채도를 표시하는 색명이다.
관용색명 : 고유색명 중에서 비교적 잘 알려져 예부터 습관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색명을 말한다.
고유한 색명으로 동물, 식물, 지명, 인명 등이며 피부색, 쥐색 등의 동물과 관련된 색이름 및 밤색, 살구색 등 식물과 관련된 이름 등이 있다.
NBS 색명법
1939년에 미국 색채 연락 협의회의 저그와 켈리에 의해서 고안되고 NBS에 의해 세부적으로 발전시켜 설정한 "색이름 부르는 법"어로 먼셀의 색 입체를 267개 단위로 나눈 색이름이다.
색이름을 계통적으로 체계화 시켜서 현 생활에 실제로 쓰고 있는 이름과 일치하도록 만들어 세계 여러 나라의 색이름 기준으로 사용된다.
규정 색명에는 일반 색명에 대하여 자세히 규정하고 있으며 미국의 ISCC-NBS 색명법에 근거를 두고 있다.
명도 순서 : Light Red - Grayish Red - Deep Red - Dark Red
먼셀의 표색계
미국의 화가이며 색채연구가의 먼셀에 의해 1905년 창안된 체계로서 색의 3속성인 색상, 명도, 채도로 색을 기술하는 체계 방식이다.
먼셀 색상은 각각 적, 황, 녹, 청 5가지 기본색과 주황, 연두, 청록, 남색, 자주의 5가지 중간색으로 10등분 되고 이러한 색을 각기 10단위로 분류하여 100 색상으로 분할하였다.
각 색상에는 1~10의 번호가 붙어 5번이 색상의 대표색이다.
우리나라에서 채택하고 있는 한국산업규격 색채 표기법이다.
색상 : 원의 형태로 무채색을 중심으로 배열된다.
-기본색 : 빨강, 노랑, 녹색, 파랑, 보라
-중간색 : 주황, 연두, 청록, 남색, 자주
명도 : 수직선 방향으로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명도가 높아진다.
-빛의 반사율에 따른 색의 밝고 어두운 정도
-이상적인 흑색을 0, 이상적인 백색을 10
채도 : 방사형의 형태로 안쪽에서 밖으로 나올수록 높아진다.
-회색을 띠고 있는 정도 즉, 색의 순하고 탁한 정도
-무채색을 0으로 그 색상에서 가장 순수한 색이 최대의 채도 값
먼셀의 색 표기법
-색상, 명도, 채도의 기호는 H, V, C이며 H/C로 표기된다.
오스트발트 표색계
오스트발트 표색계의 특징은 먼셀 표색계처럼 색의 3속성에 따른 지각적으로 고른 감도를 가진 체계적인 배열이 아니고 식량의 많고 적음에 의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혼합하는 식량의 비율에 따라 만들어진 체계이다.
오스트발트 표색계의 기본이 되는 색채
모든 파장의 빛을 완전히 흡수하는 이상적인 흑색
모든 파장의 빛을 완전히 반사하는 이상적인 백색
완전 색 : 이 세 가지의 혼합량을 기호화하여 색채를 표시하는 체계이다.
오스트발트는 배색량, 흑색이랑, 순간 삭제량의 합을 100%로 하였기 때문에 등 색상 면 뿐만 아니라 어떠한 색이라도 혼합량의 합은 항상 일정하다.
가령 순간 삭제량이 없는 무채색이라면 W+B=100% 가 되도록 하고 순간 삭제량이 있는 유채색은 W+B+C=100%가 된다.
오스트발트의 색 입체는 3각형을 회전시켜서 이루어지는 원뿔 2개를 맞붙여 놓은 모양으로, 즉 주판알과 같은 복원 뿔체이다. 색 입체 중에 포함된 유채색은 색상 기호, 배색량, 흑색 양의 순으로 표시한다.
CIE 표색계
색의 전달을 위한 표시 방법 중 1931년 국제조명위원회에 의하여 결정한 가장 과학적이고 국제적 기준이 되는 색 표시 방법이다.
CIE 색도도 : 스펙트럼 궤적과 단색광궤적으로 둘러싸인 말발굽 형태의 색도도로 그 부분은 실제 광 자극의 좌표를 발견할 수 있는 최대색도 범위를 나타낸다. 색을 XY의 형태로 표현한다. XY는 한 조로여서 색도좌표를 나타낸다. 이 표색계는 색의 심리 물리학에 입각하는 것으로, 색 지각을 만드는 빛의 스펙트럼 특성을 물리적으로 측정하고, 세밀한 계산을 거쳐 XY가 구해진다. 그러나 실제로는 정확하고 편리한 색채 계가 있어, 간단한 조작에 의해서 상세한 XY의 값이 구해진다.
CIE 표색계는 가장 과학적이며 표생의 기본으로 되어 있는데, 주로 광원이나 컬러텔레비전의 기술에 사용된다.
실내건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