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재의 부식 방지 방법
균질의 것을 선택하고 사용할 때 큰 변형을 주지 않는다.
표면을 평활, 청결하게 하고 가능한 한 건조상태로 유지한다.
가능한 상이한 금속은 이를 인접 또는 접속해 사용하지 않는다.
가공 중에 생긴 변형은 가능한 한 풀림, 뜨임 등에 의하여 제거하여 사용한다.
도료나 내식성이 큰 금속으로 표면에 막으로 덮어 보호한다.
금속제품
긴걸 철물, 고정 철물, 목구조용 철물
두 벨
목구조에 사용하는 보강철물로 볼트와 같이 사용하여 두 벨은 전단력에 저항하고, 볼트는 인장력에 저항한다.
인서트
구조물 등을 달아매기 위하여 콘크리트 표면 등에 미리 묻어 넣은 고정 철물로 수축이 적고 가공하기 쉬운 주물을 재질로 사용한다.
인 스팬션 볼트
콘크리트에 창틀, 기타 실내 장식장을 볼트로 고정하기 위한 준비로서 미리 볼트 결합을 위해 암나사나 절삭이 되어 있는 부품을 매립하는 데 사용하는 볼트이다. 콘크리트만의 구멍에 볼트를 박으면 볼트 끝이 벌어져 고정한다.
드라이브 핀
화약을 사용하는 발사 총으로 콘크리트 벽이나 강제 등에 박는 못
수장, 장식용 철물
조여 : 벽, 천장, 바닥 등에 보드류(판재)를 붙일 때 그 이음새를 감추거나 이질째와의 접착부에 사용한다. 재료는 아연도금철판 재, 황동재 등으로 만든다.
코너비드
미장 공사에서 기둥이나 벽의 모서리 부분을 보호하기 위하여 쓰는 철물이다. 박강판, 평판 등을 가공하여 만들며, 재질로는 아연 철판, 황동 판 제품 등이 있다.
논 슬립 : 계단의 디딤판 모서리에 미끄럼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놋쇠, 고무제, 황동제, 스테인리스 강제 등이 있다.
펀칭 메탈
두께 1.2mm 이하의 박강판을 여러 가지 무늬 모양으로 구멍을 뚫어 만든 것으로 환기구, 라디에이터 덮개 등에 쓰인다. 때로는 황동 판, 알루미늄판으로 만들기도 한다.
미장용 철물
메탈 라이스
박강판에 일정한 간격으로 자르는 자국을 많이 내어 이것을 옆으로 잡아당겨 그물코 모양으로 만든 것으로 바름벽 바탕에 쓰인다.
와이어 라이스
지름 0.9~1.2mm의 철선 또는 아연도금 철선을 가공하여 만든 것으로 모르타르 바름 바탕에 쓰인다.
콘크리트 타설용 철물
와이어 메시
연속 강의 철선을 격자형으로 짜서 접점을 전기 용접한 것으로 방형 또는 장방형으로 만들어 블록을 쌓을 때나 보호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사용하여 균열을 방지하고 교차 부분을 보강하기 위해 사용한다. 용도로는 콘크리트 보강용, 도로포장용으로 쓰인다.
데크 플레이트
얇은 강판에 골 모양을 내어 만든 강판 성형품으로 콘크리트 슬래브 외 거푸집패널 또는 바닥 판 및 지붕 판으로 사용되는 금속 성형 가공제품
미장 재료
구성 재료에 따른 분류
결합재료
다른 미장 재료를 결합하여 경화시키는 재료
시멘트, 소석회, 돌로마이트 플라스틱, 점토, 합성수지 등
혼화 재료
결합재료에 방수, 착색, 내화, 단열, 차음 등의 성능을 갖도록 하거나, 응결시간을 단축, 지연, 촉진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재료
방수제, 촉진제, 급결제, 지연제, 안료, 방동제, 착색제 등
보강재료
자신은 고체화에 직접 관계하지 않으며 균열 방지 등을 보강하는 재료
여물, 풀, 수염, 종려 잎 등
부착재료
바름벽과 바탕 재료를 붙이는 역할을 하는 재료
못, 스테이플, 커터 침 등
경화 방식에 따른 미장 재료의 분류
기경성 미장 재료 : 공기 중에서 경화하는 것으로 공기가 없는 수중에서는 경화되지 않는 성질
진흙질, 회반죽, 돌로마이트 플라스터
수경성 미장 재료 : 물과 작용하여 경화하고 차차 강도가 크게 되는 성질
석고플라스터, 무수석고 플라스터, 시멘트모르타르
회반죽 바름
재료 : 소석회 + 모래 + 여물 + 해초풀
소석회 : 주원료
모래 : 강도를 높이고 점도를 줄인다.
여물 : 수축의 분산(균열 방지)
해초풀 : 점성이 늘어나 바르기 쉽고 바른 후 부착이 잘되도록 한다.
회반죽은 기경성 미장 재료이다.
회반죽과 회사 벽의 고결째인 수산화석회는 공기 중의 탄산가스와 반응하여 단단한 석회가 된다.
돌라 마실 터 플라스터 바름
재료 : 돌로마이트(마그네샤질 석회) + 모래 + 여물
가소성(점성)이 높기 때문에 풀을 혼합할 필요가 없다.
공기 중의 탄산가스와 반응하여 화학변화를 일으켜 경화한다.
곰팡이의 발생, 변색, 냄새가 나지 않는다.
보수성이 크기 때문에 바름, 고름 작업이 용이하다.
응결시간이 비교적 길기 때문에 시공이 용이하다.
조기강도를 내며 강도도 큰 편이다.
착생이 용이하다.
시공이 용이하고, 값이 싸다.
알칼리성이며 페인트 도장이 불가는핟.
건조수축 커서 균열이 생기기 쉬우므로 여물은 혼합하여 잔금을 방지한다.
기경성이므로 습기 및 물에 약해 지하실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석고
조립식 및 건식공법의 가장 획기적인 마감 재료로서 자유 캐스트나 ALC 등에 적합하며 주로 건물 내외부 벽면에 사용하는 미장 재료로서 종류에는 순 석고 플라스터, 혼합서고 플라스터, 경석고 플라스터가 있다.
재료
석고 질
순 석고 플라스터 : 순 석고 + 석회죽
경화 속도가 너무 빠르다. (15분~20분)
혼합석고 플라스터 : 소석고(25%) + 회반죽(공정에서 미리 혼합제품)
초벌용 : 물과 모래 혼합
정벌용 : 물만 혼합
약알칼리성이며 경화 속도는 보통이다.
보드용 석고 플라스터 : 부착강도가 높으며 석고판 붙임용에 적합
혼화제 : 수용성 고분자 수지 에멀젼, 고분자 라텍스
여물 : 백모, 종이, 무명, 짚
특징
순백색이며, 미려하고 석회보다 변식이 적다.
경화 강도가 강하다.
수경성 재료로 급 경성이다.
수축이 없으므로 정벌바름에 여물을 넣을 필요가 없다.
습기에 의해 변질이 쉽다.
경석고 플라스터 : 무수석고
응결이 대단히 으르므로 촉진제 사용한다.
산성 재료로서 철류와 접촉하면 녹이 슨다.
석회계와 소속 고개와 혼용 사용을 금한다.
여물을 혼합할 필요가 없다.
수축, 균열이 거의 없고 목욕실, 주방에 사용된다.
표면강도가 높고, 바르기 쉽고 광택이 있어 바닥재로 사용된다.
시멘트 모르타르 바름
재료 : 보통포틀랜드시멘트 + 모래 + 소석회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와 모래에 시공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소석회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특징
미장공사에 주로 사용되는 수경성 미장 재료로서 내수성 및 강도는 크지만 나쁘다.
시멘트모르타르는 지하실과 같이 공기의 유통이 나쁜 장소의 미장공사에 적당하다.
재료배합은 바탕에 가까울수록 부배합, 정벌에 가까울수록 빈 배합이 원칙이다.
초벌바름은 바탕 면에 물 축이기를 한 후 초벌 바른다. 초벌바름 후 1~2주 방치하여 충분한 경화, 균열 발생 후 고름질하고 재벌 바른다.
바름 두께는 바닥은 1회 바름으로 마감하고, 벽 2~3회 바른다.
얇게 여러 번 바르는 것이 두껍게 바르는 것보다 좋다.
실내건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