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토의 물리적 성질
비중 : 비중 2.5~2.6 정도, 불순물이 많을수록 비중은 작고, 알루미늄의 분포가 많을수록 크다.
입도 : 입자 크기 25~0.1
강도 : 미립 점토의 인장 강도는 0.3~1MPadlrh, 압축 강도는 인장 강도의 5배 정도이다.
가소성 : 양질의 점토는 습윤 상태에서 현저한 가소성을 나타낸다.
공극률 : 점토 전 용적의 백분율로 표시하여 30~90% 내외이다.
수축 : 건조하면 수분의 일부가 방출되어 수축하게 된다.
함수율 : 기간이 작은 것은 7~10%, 큰 것은 40~50%이다.
색상 : 철산화물이 많은 점토는 적색을 띠고, 석회 물질이 많으면 황색을 띠게 된다.
내화벽돌
미색으로 600도 2000도의 고온에 견디는 벽돌
크기는 230,114 보통벽돌보다 약간 크다.
줄눈에는 내화 모르타르를 사용한다.
용도 : 굴뚝, 난로의 안 쌓기용, 보일러 내부용
경량벽돌
저급점토, 목탄 가루, 톱밥 등을 혼합하여 성형 후 소성한 것으로 속이 비어있는 중공 벽돌과 무수한 공간이 있는 다공질 벽돌로 구분한다.
구멍 벽돌
중앙에 구멍이 있는 것으로 속빈벽돌, 공동벽돌이라고 하며 다공질 벽돌은 못 치기, 절단 등이 유리하다.
공동벽돌 : 벽돌 실체적인 겉보기 체적의 80% 미만의 벽돌로 각 구멍의 단면적이 300m 이상 단면의 10mm 이상이다.
용도 : 단열, 방음벽 및 건물의 경량화를 위한 칸막이벽 등에 쓰인다.
다공질 벽돌
점토에 톱밥, 분탄, 겨 등의 분말을 혼합하여 성형 소성한 것으로 비중 1.2~1.5 정도로 가볍다.
용도 : 방음, 방열 또한 경미한 칸막이벽 및 단순한 치장 제로 쓰인다. 구조용으로는 불가능하다. 4
테라코타
점토를 반죽하여 조각 형틀로 찍어낸 점토 소성 제품이다.
종류
구조용 테라코타 : 바닥, 칸막이벽에 사용되는 속이 빈 제품
장식용 테라코타 : 판형, 쇠시리형, 조각물이 있고, 난간벽, 돌린대, 창대, 주두에 사용
특징
일반석째보다 가볍고 색소나 모양의 임의 가공이 가능하다.
화강암보다 내 화력이 강하고, 대리석보다 풍화에 강하므로 외장에 적당하다.
앞축 강도는 화강암의 절반 정도이다.
형상, 치수 오차가 심하다.
주 용도 : 버팀대, 돌린대, 기둥 주두, 파라 펫 등 주로 내
세라믹 재료
내구성, 내열성, 화학저항성이 우수하다.
단단하고, 압축강도가 높으며 전기절연성이 있다.
고온에서 소성된 것은 내수 방화 성이 있는데 탄성은 낮아서 충격 변형에 약하다.
연 질타일게 바닥재
고무 계 타일 :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내수성이 있다.
리놀륨 예 타일 : 내유성이 우수하고 탄력성이 있으나 내알칼리성, 내마모성, 내수성이 약하다.
전도성 타일 : 정전기 발생이 우려되는 반도체, 전기전자제품의 생산 장소에 주로 사용
아스팔트계 타일 : 내유성, 내산성이 우수하나 내알칼리성이 나쁘다.
제 겔 추
특수한 점토 원료를 조합하여 만든 삼각추
노중의 고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이며, 세모뿔의 경화 정도로써 온도를 알 수 있다. 온도 사이를 59종으로 나누어 번호로 표시하고, 콘이 연화되어 휘어지는 때의 번호의 온도를 소성온도로 한다.
굴뚝 난로 등의 내부 쌓기용으로는 26~29 정도의 것이 사용된다.
시멘트
시멘트의 풍화
응고 현상을 일으킨 것이나 풍화된 시멘트는 사용하지 않는다. 저장 시 통풍이 되지 않게 하며, 환기창을 설치하지 않는다.
시멘트는 대기 중에 저장하면 풍화되는데 비중과 비표면적이 감소하고 압축강도가 크게 저하되며 응결시간이 지연된다. 시멘트 저장기간에 따라 2개월은 15%, 3개월은 30%, 1년은 50% 정도 압축강도가 저하된다.
시멘트의 풍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는 강열감량은 시멘트 시료를 1000도로 가열한 경우에 감소한 질량으로 풍화의 척도로 사용한다. 강열감량이 너무 큰 것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수화작용
시멘트와 물이 접촉하여 응결, 경화가 진행되는 현상
수화작용은 온도가 높을수록, 시멘트 분말 도가 높을수록 빨리 진행된다.
시멘트의 수화열은 시멘트가 물과 반응하면 125 정도의 열이 발생하고, 시멘트 풀의 온도가 40~60도까지 올라간다.
수화작용과 관계있는 혼합물과 특성
시멘트 분말도
1g 입자의 표면적의 합계로 표시하며, 보통 2800~3600 정도이다.
단위중량에 대한 표면적, 즉 비표면적에 의하여 표시
분말 도가 크면 수화작용이 빠르다. 풍화작용도 빠르다.
분말도 : 시멘트의 성능 중 수화반응, 블리딩, 초기강도 등에 크게 영향을 준다.
실내건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