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구조
목구조의 특징
장점
건물이 경량하고 시공이 간편하다.
비중이 작고 비중에 비해 강도가 크다.
열전도율이 낮다.
내 산, 내약품성이 있고 염분에 강하다.
수종이 다양하고 색채, 무늬가 미려하다.
단점
고층 건물이나 큰 스팬의 구조가 불가능하다.
착화점이 낮아서 비네 화적이다.
내구성이 약하다.
함수율에 따른 변형 및 팽창 수축이 크다.
목재의 역학적 성질
목재의 강도 순서 : 인장강도 - 휨강도 - 압축강도 - 전단강도
허용 강도 : 목재의 최고 강도의 1/7~1/8 정도
섬유 평행강도가 섬유 직각 방향의 강도보다 크다.
허용응력도 : 목재의 파괴강도를 안전율로 나눈 값
목재의 접합
이음 및 맞춤이 주의사항
응력이 작은 곳에서 응력의 방향에 직각 되게 한다.
단순한 모양으로 완전히 밀착시킨다.
트러스, 평보는 왕대공 가까이에서 이음 한다.
재는 될 수 있는 한 적게 깎아내어 약하게 되지 않게 하고, 또 국부적으로 큰 응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한다.
공작이 간단한 것을 쓰고 모양에 치중하지 않으며, 맞춤이 보강철물을 사용한다.
맞춤
한 부재가 직각 또는 경사지어 맞추어지는 자리 또는 그 맞추는 방법
걸침턱맞춤 : 상하 부재가 직각으로 교차할 때 접합 면을 서로 따서 물리게 한 것으로 좌우 이동을 막는다.
안장 맞춤 : 빗질이라 중간을 따서 두 갈래로 된 것을 양옆을 경사지게 딴 자리에 끼워서 맞춘 것이다.
가름장 맞춤 : 큰 부재를 중간에 따서 두 갈래로 하여 작은 부재에 끼워 대거나, 기름장에 작은 부재를 얹지만 속에 장부를 낸 것이다.
연귀맞춤 : 비교되거나 경사로 교차하는 부재의 마구리가 보이지 않게 서로 45도 또는 맞닿는 경사각의 반으로 빗 잘라대는 맞춤이다.
부채 장부 맞춤 : 장부 한쪽은 넓고 다른 쪽은 좁게 하여 부채모양으로 된 것으로 장부 구멍이 파괴되어도 장부는 빠지지 않는다.
반턱맞춤 : 부재 춤을 반씩 따서 직각으로 맞춘 것이다.
쪽매
맞댄 쪽매 : 툇마루 등에 틈서리가 있게 위장하여 깔 때, 또는 경미한 절대기에 쓰인다.
맛 쪽매 : 간단한 지붕, 반자널 쪽매 등에 쓰인다.
반턱쪽매 : 15mm 미만 두께의 널은 세밀한 공작물이 아니고서는 제혀쪽매로 할 수 없으므로 얇은 널은 이 방법으로 한다.
틈막이대 쪽매 : 널에 반 턱을 내고 따로 틈막이대를 깔아 쪽매 하는 것이다. 이것은 징두리 판벽 등에 쓰이고, 간단한 판정에는 틈막이대를 덧댄다.
딴혀쪽매 : 널의 양옆에 홈을 파서 혀를 딴 쪽으로 끼워대고, 홈 속에서 못질한다.
제혀쪽매 : 널 한쪽에 홈을 파고 딴 쪽에 혀를 내어 물리고, 혀 위에서 빗 못질하므로, 진동 있는 마룻널에도 못이 빠져나올 우려가 없다. 또 널 마구리에도 혀와 홈을 내서 쓰면 이음은 반드시 장선 위에서 하지 않아도 된다. 보행 진동에 대하여 가장 저항성이 크고 마룻널의 접합에 가장 좋은 쪽매 방법
세우기
목조건물 뼈대 세우기 순서
기둥 - 인터넷 방송 보 - 층도리 - 큰 보
목공사 시공 순서
수평규준틀 - 기초 세우기 - 지붕 - 수장 - 미장
2층 주택의 마루판과 천장 판 시공순서
2층 바닥 - 2층 천장 - 1층 바닥 - 1층 천장
목구조의 2층 마루를
홑 마루를 : span이 2.5m 미만인 경우
보겠다고 후를 : span이 2.5~6.4m 이하이며, 보 간격은 1.8m가 적당하다.
짠 마루를 : span이 6.4m 이상일 때 사용
반자틀 짜는 순서
달게 받기 - 달대 - 반자틀받이 - 반자틀
달게 받기 : 바닥 판에 묻어둔 철물에 9cm 각의 목재를 고정
달대 : 4.5cm 각재를 120cm 간격으로 상부는 달게 받기에 못 박아 대고 하부 반자틀에 주먹 턱 맞춤한다.
반자틀받이 : 4.5cm 각재를 90cm 간격으로 배치하여 달 대에 고정
반자틀 : 4.5cm 각재를 45cm 간격으로 반자틀받이에 못 박아댄다.
반자돌림대 : 벽과 반자가 맞닿는 곳에 벽과 반자를 잘 마무리하여 장식 효과를 겸한다.
목재의 보강철물
못
못의 지름 : 널두께의 1/6 이하
못의 길이 : 판 두께의 2.5~3배
못은 15도 정도 기울게 박는다.
나사못 : 나사못 지름의 1/2 정도 구멍 뚫고, 못 길이의 1/3 이상은 틀어서 박는다.
꺾쇠
엇꺾쇠, 보통 꺾쇠, 주걱꺽쇠가 있고 단면은 원형을 많이 사용한다.
볼트
목재의 볼트구멍 : 볼트 지름보다 2mm 이상 커서는 안 된다.
인장력을 분담한다. 구조용은 12mm, 경미한 곳은 9mm 정도를 쓴다.
두 벨 : 볼트와 같이 사용하여 두 벨은 전단력을 분담한다.
띠쇠 : 보통 띠쇠, 감잡이쇠, 안장쇠 등이 있다.
1. 토대
상부의 하중을 기초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 제이다. 기초에 2~4m마다 앵커볼트를 연결하여 기둥 밑을 고정한다.
지상에서 최소 20cm 이상으로 높게 설치하고, 밑은 방부처리를 하여 습기가 차지 않게 한다.
토대와 토대의 이음은 턱걸이 주먹장이음, 옷걸이 산지이음으로 한다.
2. 기둥
본기둥
통재기둥 : 1 기둥이 통째로 된 것으로 중요한 모서리나 중간에 5~7m 길이로 배치한다.
평기둥 : 층별로 구분된 기둥으로 통재기둥 사이에 1.8m 간격으로 배치한다.
샛기둥 : 본기둥 사이에 벽체를 이루는 기둥으로 가새의 옆 휨을 막는데 유효하다. 크기는 본기둥의 1/4 쪽으로 간격은 40~60cm로 한다.
3. 도리
층도리 : 2층 마룻바닥이 있는 부분에 수평으로 대는 가로 제이다.
깔 도리 : 상층 기둥 위에 가로대에 지붕보 또는 양식 지붕틀의 평보를 받는 도리이다.
처마도리 : 양식 구조에서 깔 도리 위에 지붕틀을 걸고 지붕틀 평보 위에 깔 도리와 같은 방향으로 처마도리를 걸쳐댄다. 크기는 기둥과 같게 하거나 다소 작은 부재를 사용하여 이음 및 맞춤은 엇걸이산지이음으로 한다.
한식 구조와 일식 구조 에서는 처마도리가 깔 도리를 겸하고 있다.
4. 밑동잡이
1층 또는 2층 마룻바닥을 받치기 위하여 기둥과 기둥 사이에 옆면으로 대는 것.
5. 가세
벽체에 가해지는 수평력에 견디게 하는 대각선으로 댄 부재로 목조 건물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서 가위의 배치법과 치수를 검토하여 내진설계를 하여야 한다.
가위의 설치 원칙
기둥이나 보의 중간에 가위의 끝단을 대지 말 것
기둥이나 보에 대칭이 되도록 할 것
x 자형으로 배치할 것
상부보다 하부에 많이 배치할 것
귀잡이와 버팀대 : 가위를 댈 수 없을 때 그 모서리에 짧게 수평으로 빗댄 것을 귀잡이라 하고 수직으로 빗댄 것을 버팀대라 한다.
6. 인터넷 방송
등과 기둥에 가로대에 창문틀의 상하 벽을 받고 하중을 기둥에 전달하며, 창문틀을 끼워대는 뼈대가 되는 것이다.
'실내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골 구조 (1) | 2022.09.28 |
---|---|
철근콘크리트 구조 (1) | 2022.09.26 |
석재, 방수재, 단열재 (1) | 2022.09.22 |
합성수지 (1) | 2022.09.22 |
금속재의 부식 방지 방법 (0) | 2022.09.21 |
댓글